블로그

  • 25.08.19 글로벌 이

    8월 19일 핵심 이슈: 우크라 평화 모멘텀, 가자 휴전안과 구호선, 한미 연합훈련(UFS25), 한미 정상회담 준비, 잭슨홀 대기 속 코스피 약세.

    #1 우크라이나 — 트럼프 중재로 ‘젤렌스키–푸틴’ 회동 추진… 일정은 “아직 미정”

    • 무슨 일? 백악관 회동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젤렌스키–푸틴 정상 간 직접 회담을 밀고 있음. 젤렌스키는 “가능한 형식에는 열려 있으나 확정된 날짜는 없다”고 명확히 밝혔습니다. 가디언월스트리트저널
    • 왜 중요? 회동이 성사되면 전쟁 종결 로드맵(안보보장·영토 문제·제재 완화)이 가시화될 수 있습니다. 다만 러시아의 태도와 휴전 조건이 변수. ABC News
    • 숫자로 보는 포인트: 시장은 평화 모멘텀을 반영해 위험선호/회피를 오가며 관망 중. (잭슨홀 대기와 맞물림) 마켓워치
    • 한 줄 결론: “회담 추진은 맞지만, 날짜 확정 전까지는 기대도 리스크도 ‘보류’.” 월스트리트저널

    #2 중동 — 하마스 ‘60일 휴전안’ 수용… 1,200톤 식량선, 이스라엘 아슈돗 접근 중

    • 무슨 일? 중재국 이집트·카타르가 제시한 60일 휴전안에 하마스가 ‘수용’ 답변. 이스라엘은 조건 검토 중입니다. 동시에 식량 1,200톤 선박이 아슈돗항에 접근 중. Reuters+1가디언timesofisrael.com
    • 주요 내용: 생존 인질·시신 단계적 석방 ↔ 팔레스타인 수감자 석방, 부분 철군·구호 확대 등 프레임. 최종 타결은 이스라엘 답변이 관건. Reuters+1
    • 현장 동향: 키프로스에서 선적된 구호선의 상세(품목·경로)도 확인됨. ekathimerini.comKATU
    • 한 줄 결론: “하마스 OK, 이스라엘 검토 중—구호선 입항은 ‘체감 신호’.”

    #3 한반도 — 을지 프리덤 실드(UFS 25), 8/18–28 실시

    • 무슨 일? 한국·미국이 8월 18~28일 UFS 25 연합훈련을 진행. 사이버·우주·회복탄력성 등 전방위 시나리오 점검. Army
    • 왜 중요? 확장억제와 연합대비태세 확인. 북측의 메시지·도발 수위가 동시 변수.
    • 한 줄 결론: “연합연습은 예정대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은 변수대로.” Army

    #4 국내 — 이재명 대통령, 재계 총수들과 워싱턴 플랜 점검… 8/25 한미 정상회담 앞두다

    • 무슨 일? 대통령이 삼성·현대차·SK·LG 등과 전략 회의를 열고 8월 25일 워싱턴 정상회담 어젠다(통상·투자·경제안보)를 조율. 최근 관세·투자 패키지의 세부 이행 점검 성격. Reuters+1
    • 공식 일정: 외교부·대통령실 공지로 8/24–26 방미 및 8/25 회담 확정. 해외안전정보
    • 한 줄 결론: “산업·통상 패키지 구체화가 관건—정상회담에서 ‘실물’ 발표 주목.” Reuters

    #5 시장 — 잭슨홀 대기… 금 견조·유가 약세, 코스피 3,151.56(-0.81%)

    • 글로벌 톤: 이번 주 잭슨홀(8/21–23) 앞두고 연준 메시지에 ‘올인’. 금은 대기 장세 속 강보합, 유가는 약세. Reuters마켓워치
    • 국내장: 코스피는 **3,151.56(-0.81%)**로 2거래일 연속 하락 마감. 원화는 약세. 코리아중앙일보
    • 한 줄 결론: “정책 신호 대기 모드—파월 발언 전까지 관망 우위.”

    영상으로 보기 : https://youtube.com/shorts/MPFn1QNRwug

  • 25.08.18 글로벌 이슈

    오늘의 이슈: 남북합의 재가동 지시 · UFS 개시 · 트럼프–젤렌스키 회동 임박 · 닛케이 사상 최고 · 코스피 -1.5%

    ① [국내/남북] 기존 남북합의 ‘단계적 이행’ 지시

    •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가능한 것부터 단계적 이행”을 주문. 2018년 군사합의 복원 의지 재확인. Reuters
    • 의미: 군사적 긴장 완화·대화 복원의 신호이지만 북측 반응과 국내 안보 여건이 변수.

    Reuters

    체크포인트: 합의 복원 범위(감시중단 구역, GP 철수 등)와 이행 로드맵 공개 여부.

    ② [국내/안보] 한미 연합훈련 ‘을지 프리덤 실드(UFS)’ 개시 (8/18–28)

    • 올해 UFS는 8월 18일부터 28일까지 11일간 실시. 합동/전영역 작전, 지휘소연습·야외기동 포함. usfk.mil+1
    • 폭염·수해 변수로 일부 조정, 북측은 강력 반발 경고.

    AP News

    체크포인트: 사이버·미사일 대응 연습 강화와 민·관·군 연계(을지연습) 범위.

    ③ [세계/우크라] 트럼프–젤렌스키 회동 임박…시장·유가 촉각

    • 오늘(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젤렌스키 대통령 및 유럽 정상들과 회동 예정(대면 일정 1pm ET 등).
    • 맥락: 알래스카 미·러 회담 이후 ‘휴전 선행’ 대신 ‘신속 평화안’ 기류. 유럽 정상단이 키이우 입장 지지차 동행.
    • 시장 영향: 회동 신호에 따라 유가 변동성 확대 가능성.

    ABC News, AP NewsReuters, Reuters

    체크포인트: 영토·안보보장 문안, 러시아 원유 제재/면제 관련 발언.

    ④ [시장/일본] 닛케이, 엔 약세에 ‘사상 최고’ 마감

    • 닛케이 225, 8/18 장 마감 기준 사상 최고치 경신(자동차주 중심). 약세 엔이 수출주 이익 레버리지 확대.
    • 일본 주요 지수의 연속 신고가 흐름 확인.

    Reuters, Japan Wire by KYODO

    체크포인트: BOJ 정책 정상화 속도·환율(USD/JPY) 흐름이 추세 지속의 관건.

    Reuters

    ⑤ [국내/증시] 코스피 -1.5% 하락 마감…반도체 약세

    • 코스피, 반도체 중심 약세로 -1.5% 하락(종가대 3,177선 보도). 대외 ‘美 반도체 관세’ 관측 부담.

    Yahoo 금융Beaumont Enterprise

    체크포인트: 대형 반도체주 수급(외국인), 관세·수출 규제 헤드라인, 환율(원/달러) 연동성.

  • 1+1의 진짜 목적: 회전·교차구매·펀딩

    1. 1+1은 왜 반값과 다를까? — 비선형 가격·가격차별

    1+1은 ‘두 개를 살수록 단가가 급격히 떨어지는’ 비선형 가격입니다.

    • 평소엔 제값 주고 사는 비가격민감층(충성·편의 중시)은 그대로 유지
    • 할인기에만 움직이는 가격민감층은 1+1 기간에 집중 유입
    • 결과적으로 시간 기반 가격차별 효과: 서로 다른 지불의사를 가진 고객을 한 번에 포획


    2. “무료”의 힘 — 행동경제학 포인트

    사람은 **‘0원’**에 과잉 반응합니다. 같은 50% 혜택이라도 **“하나 사면 하나 무료”**가 **“반값”**보다 체감 가치가 큽니다.

    • 손실회피·앵커링 → 장바구니 진입률 상승
    • “어차피 공짜 하나 더” → 교차구매 증가(스낵·음료·디저트 등)
    • 매장은 1+1로 만든 트래픽을 다른 고마진 카테고리에서 회수


    3. 재고·유통비용 관리 — 회전율↑ 폐기↓ 물류비↓

    유통기한이 짧거나 창고비가 높은 상품은 빨리 도는 게 이익입니다.

    • 1+1은 재고회전율을 끌어올려 폐기·보관비를 줄임
    • 창고에서 ‘써버릴 돈’을 앞단 마케팅비로 쓰는 셈
    • 계절·로트 전환 시 재고 털기에도 효과적


    4. ‘무료 하나’는 누가 대나? — 제조사 공동 프로모션(펀딩)

    무료로 주는 1개를 유통사가 전액 부담하는 구조는 드뭅니다.

    • 제조사 판촉비로 무료분을 보전하거나, 리베이트·광고비로 상쇄
    • 매장은 노출·트래픽·동반구매를, 제조사는 판매량·점유율·체험을 얻음
    • 즉, 윈-윈 구조가 설계되기 때문에 자주 쓰임


    5. 간단한 수학 — 단품 마진↓, 전체 이익은 어떻게 ↑?

    1+1만 놓고 보면 마진율은 하락. 그런데

    • 방문자 수↑다른 고마진 상품 동반구매
    • 제조사 펀딩이 무료분을 일부/전부 보전
    • 신규 체험 → 재구매·LTV 상승
      합쳐서 보면 총이익이 플러스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6. 1+1이 ‘독’이 되는 경우

    • 부피·중량이 커서 보관·반품·파손 리스크가 높은 상품
    • 브랜드 프리미엄이 핵심인데 가격 앵커가 무너지기 쉬운 카테고리
    • 저회전·니치 품목(무료라도 두 개를 소화하기 어려움)

    체크 질문: “트래픽·회전·데이터·교차구매로 회수 가능한가?”


    FAQ

    Q1. 1+1과 반값 세일의 가장 큰 차이는?
    A. 1+1은 비선형 가격으로 고객층별 지불의사를 분리 수확합니다. 반값은 모두에게 동일한 할인입니다.

    Q2. 매장은 무료로 나가는 1개 때문에 손해 아닌가요?
    A. 제조사 판촉비가 무료분을 보전하는 경우가 많고, 동반구매·트래픽으로 총이익을 만회합니다.

    Q3. 어떤 상품에 특히 적합하나요?
    A. 유통기한이 짧거나 회전이 중요한 카테고리, 체험 유도가 필요한 신제품·PB 상품에 적합합니다.

    결론

    1+1은 단순한 할인 기술이 아니라 유통·제조·소비자 심리가 맞물린 종합 전략입니다.
    공짜의 힘으로 유입을 만들고, 회전율동반구매로 회수하며, 제조사 펀딩으로 비용을 분담하기에 반복적으로 쓰입니다.

  • 25.08.15 글로벌 이슈

    오늘의 5픽: 알래스카 정상회담 · 허리케인 ‘에린’ · 가자 재정착 논란 · 광복절 경축사 · PLAVE KSPO 돔

    1) 미·러 ‘알래스카 정상회담’ 개막

    미국 알래스카(앵커리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방안을 논의하는 회담을 시작했습니다. 회담 형식은 확대 회담과 오찬, 공동 기자회견이 예고되어 있으며, 미측은 국무·재무·상무·국방 수장 등이 동석하는 보다 공식적인 틀을 마련했습니다. 회담 장소로는 JBER(엘먼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 가 유력/확정 보도되었습니다. PoliticoAP NewsAlaska Public Media

    체크 포인트

    • 의제: 휴전/정전 로드맵, 제재·안보 보장, 포로 교환 등(관측). PBS
    • 일정·세션 구성(양측 브리핑): 단독 회담 → 확대 회담 → 기자회견. 뉴스위크

    2) 허리케인 ‘에린’ 접근 — 푸에르토리코·버진아일랜드 ‘호우·홍수’ 위험

    2025년 대서양 시즌 첫 허리케인 에린(Erin) 이 카리브해 북동부로 접근 중입니다. NHC(미국 국립허리케인센터) 는 주말 사이 레워드 제도·미·영령 버진아일랜드·푸에르토리코 북쪽을 스치듯 통과할 가능성을 시사했고, 국지적 4~6인치(최대 6인치) 강우와 침수·산사태·너울성 파도 위험을 경고했습니다.

    nhc.noaa.govAP News

    현황 & 전망

    • 최신 공보: 토·일 사이 북상, 주말 이후 대서양에서 추가 발달 전망. Axios
    • 지역 경보: NWS 산후안(푸에르토리코) “호우·홍수 주의”. 기상청
    • AP 종합: 비상요원 배치·항만 통제 등 선제 대응. AP News

    3) 이스라엘, ‘가자→남수단 재정착’ 논의 보도

    로이터는 이스라엘이 가자 주민의 남수단 재정착을 타진 중이라는 보도를 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협의는 초기 단계이며, 남수단 측은 부인했고, 팔레스타인 측은 강하게 반대하고 있습니다. 사안의 민감성상 공식 확인은 제한적이므로 업데이트를 주시해야 합니다.

    Reuters


    4) 광복절 경축사 — ‘2018년 9·19 군사합의’ 복원 추진

    이재명 대통령은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9·19 군사합의의 선제적·단계적 복원대북 적대행위 중단 의지를 밝혔습니다. 이는 접경지 우발 충돌 방지와 군사적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AP News

    맥락 정리

    • 합의 개요(2018): 군사분계선 일대 적대행위 중지·완충 구역 설정 등. 정책브리핑
    • 외신/통신 종합: 대북 확성기 중단 등 긴장완화 조치와 연동. ReutersAP News

    5) K-POP — 버추얼 아이돌 PLAVE, KSPO 돔서 아시아 투어 개막

    버추얼 보이그룹 PLAVE 가 서울 KSPO DOME 에서 ‘DASH: Quantum Leap in Seoul’(8/15–17) 로 아시아 투어의 포문을 열었습니다. 일정·장소·관람 안내는 예매 공지·공식 채널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NOL 티켓Weverse

    포인트

    • 업계 최초성(가상 아이돌의 KSPO 돔 입성)과 퍼포먼스 콘셉트가 화제. The Times of India
    • 이후 타이베이·홍콩·자카르타 등으로 순회 예정(사전 공지 기준). Korea Joongang Daily
  • 25.08.14 글로벌 이슈

    8/14 오늘의 5픽: 우크라이나 외교전 · 연준 기대 완화 · 중‧인 국경교역 재개 논의 · 베이징 로봇 게임 개막 · ‘아기상어’ 최종 승소

    1) 우크라이나 외교전 가속

    영국 런던에서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회동했습니다. 다음 날로 예정된 알래스카 트럼프–푸틴 정상회담을 앞두고, 대(對)우크라 지원과 안보보장을 조율했다는 메시지입니다.

    ReutersCBS 뉴스president.gov.ua

    왜 중요? 전쟁 종식 협상 구도가 급변하는 시점에서, 서방의 공조와 “영토 양보 없는 평화” 원칙을 재확인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Reuters
    한 줄 요약: “런던 회동 → 알래스카 회담”으로 이어지는 외교전의 하루 전 무대 설정.


    2) 연준 추가 인하 기대, ‘관망 모드’

    미 **PPI(생산자물가)**가 예상보다 뜨겁게 나오며, 9월 25bp 인하 기대는 남았지만 빅컷(50bp) 기대는 약화. 미 증시는 혼조 속에 S&P 500이 근소하게 사상고 경신, 나스닥·다우는 소폭 하락했습니다.

    Reuters+1야후 금융

    체크 포인트

    • 9월 인하 기본 시나리오는 0.25%p에 무게. Reuters
    • PPI 서프라이즈로 단기 변동성 확대, 수익률은 반등. Reuters
      참고: 연준 금리확률은 CME FedWatch에서 실시간 확인. CME Group

    3) 중국–인도, 5년 만의 국경 교역 재개 협의

    양국이 단절됐던 국경 교역 재개를 논의 중인 것으로 보도됐습니다. 코로나·갈완 충돌 이후 경색됐던 관계가 경제협력 복원으로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ReutersBloomberg.comdawn.com

    왜 중요? 공급망 리스크 완화와 국경 완충지대 경제 활성화 가능성.


    4) 베이징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게임 개막

    베이징 ‘아이스 리본(국가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에서 제1회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게임이 개막. 16개국 280팀, 500여 대 로봇이 축구·단거리·복싱 등에서 기량을 겨룹니다. 개막식에선 힙합·무술 퍼포먼스까지 선보였습니다.

    AP NewsXinhua News

    왜 중요? 중국이 인공지능·휴머노이드 생태계를 ‘스포츠 이벤트’로 대중에 각인시키는 전략. 기술·산업 홍보 효과가 큽니다.

    Xinhua News


    5) ‘아기상어(Baby Shark)’ 저작권 소송, 한국 대법원 최종 기각

    미국 작곡가 **조너선 라이트(Johnny Only)**의 저작권 침해 주장을 대한민국 대법원이 기각했습니다. 전통 동요 기반의 창작물이라는 점과 핑크퐁 버전의 변형·창작성이 인정됐다는 취지. 최종심으로 소송은 종결됐습니다. (유튜브 누적 160억+ 뷰)

    AP NewsThe Washington Post가디언

    왜 중요? 전통 선율(퍼블릭 도메인) 기반 2차 창작의 보호 기준을 재확인한 판례 의미.

    영상으로 보기: https://youtube.com/shorts/r-wg-1jfdMY

  • 25.08.13 글로벌 이슈

    세계 경제·사회 핵심 이슈 (2025-08-13)

    한눈 요약: 미국 물가 둔화로 9월 연준 인하 기대가 커지고, IEA 수급 전망 상향으로 유가는 눌림. UN은 이스라엘·러시아에 성폭력 연루 경고를 공식화했고, 미국의 인도산(다이아몬드 등) 최대 50% 관세가 임박. 여기에 美 ITC의 BOE OLED “14년 8개월” 수입금지 보도까지—공급망·물가·지정학이 동시에 흔들립니다.

    1) 미국 CPI 둔화 → 9월 연준 금리 인하 기대 급증

    개요
    미국 7월 CPI는 전월대비 +0.2%, 근원은 **전월대비 +0.3% / 전년대비 +3.1%**로 시장 기대에 부합하며 둔화 기조를 재확인. 이에 따라 9월 25bp 인하 기대가 빠르게 반영되고 있습니다. JP모건과 노무라는 9월 인하 전망으로 앞당겼고, 글로벌 증시는 신고가 랠리를 이어가는 중입니다.

    Bureau of Labor StatisticsReuters+2Reuters+2

    왜 중요한가

    • 연준의 완만한 완화 시사 → 달러 약세·주식 강세·신흥국 자금 유입에 우호적.
    • 다만 데이터 품질 논란(관세 파급, 일부 품목 왜곡 등)도 함께 제기되어 ‘한 번 더 확인’ 모드가 유지됩니다.

    Reuters

    체크포인트(한국 시각)

    • 9월 FOMC 전까지 고용·소비·PCE 데이터가 인하 강도를 결정.
    • 원/달러, 수출주(IT·반도체),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 민감.

    2) 유엔 사무총장의 경고: 이스라엘·러시아 ‘분쟁지역 성폭력’ 연루 우려

    개요
    안토니우 구테흐스 UN 사무총장이 분쟁지역 성폭력 패턴을 근거로 **이스라엘·러시아를 “명단 등재 가능성(on notice)”**에 올렸습니다. 이스라엘은 즉각 부인했고, 해당 보고서는 구금·수용시설 내 강제 노출·굴욕적 신체수색·성적 학대 정황을 적시했습니다.

    ReutersAP News

    왜 중요한가

    • 국제여론·제재·무기수출 등 후속 파장 → 중동 리스크 프리미엄 및 에너지·물류 변수로 연결.
    • 전시 인권 이슈의 정치·외교 이슈화 심화.

    체크포인트(한국 시각)

    • 휴전 협상/군사작전 경로와 유가 영향 동시 점검.
    • 중동 노출도가 큰 기업(정유·석화·해운)의 변동성 관리.

    3) 트럼프 행정부, 인도산에 최대 50% 관세 검토·발동 수순 (다이아몬드 직격)

    개요
    미국이 8월 7일 발표한 추가 25% 관세로, 일부 인도산 대미 수입 관세가 **최대 50%**까지 올라갑니다(발효: 발표 후 21일). 인도 다이아몬드 커팅 허브(수랏 등)와 섬유·의류·가죽 등 労집약 산업에 충격 우려가 큽니다.

    Reuters+2Reuters+2

    왜 중요한가

    • 인도는 **전 세계 컷 다이아몬드의 ‘14/15’**를 공급—미국 관세가 보석·섬유 가격과 글로벌 공급망에 직접 파급.
    • 인도 측 대응·우회 수출 여부에 따라 가격·일자리·무역흑자 변동 폭이 달라집니다.

    Al Jazeera

    체크포인트(한국 시각)

    • 적용 품목·예외 최종 공지, 업계의 리쇼어/우회 소싱 움직임.
    • 보석·패션 밸류체인(도매·소매·마케팅) 가격 전가 여부.

    참고로 업계 전문매체·현지지 보도는 8월 말(27~28일 무렵) 50% 상향 완성으로 정리됩니다. 세부 효력일은 미국 정부 공지 기준을 따르세요.

    ReutersThe Indian Express


    4) 국제유가 하락: IEA 공급 상향 + OPEC+ 증산

    개요
    IEA(국제에너지기구)가 8월 보고서에서 2025년 공급 증가 전망을 2.5Mb/d로 상향(종전 2.1Mb/d)하고, 수요 증가폭은 68만 b/d로 낮춰 제시. OPEC+의 증산 계획까지 겹치며 유가는 약세 전환(브렌트/WTI 소폭 하락).

    Reuters+1IEA

    왜 중요한가

    • 물가 안정에 순풍 → 각국 실질소득·운임비용 개선.
    • 산유국 재정·CapEx, 고비용 업스트림에는 부담.
    • FT도 **“공급 과잉(large overhang) 위험”**을 지적.

    Financial Times

    체크포인트(한국 시각)

    • 재고(EIA)·정제마진·항공수요(여객) 추이.
    • 유가 민감 업종(정유·항공·해운·화학)의 실적 민감도.

    5) 美 ITC “中 BOE OLED 14년 8개월 수입 금지” 보도 (예비판정 단계)

    개요
    미국 ITC(국제무역위원회)는 7월 11일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최종 예비판정(Final Initial Determination)**을 내렸고, 수입금지(LEO)·중지명령(CDO) 권고가 뒤따랐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14년 8개월’ 수입 금지 기간한국·해외 매체의 보도에 근거합니다(ITC 공지 자체는 기간을 명시하지 않음). 최종 결정은 11월 예정, 이후 대통령 60일 검토를 거칩니다.

    미국 국제 무역 위원회조선비즈MacRumors

    왜 중요한가

    • 아이폰·안드로이드용 OLED 패널 공급 다변화/재편 이슈—삼성디스플레이·LG디스플레이의 반사이익 기대.
    • **인증 절차(Non-use Certification)**로 비침해 제품은 예외 통관 여지도 관례적으로 존재(세부는 최종명령 확인 필요).
    • 일부 매체는 **애플 “제품 영향 없다”**는 입장을 전했습니다(공급망·적용 범위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TechRepublic

    체크포인트(한국 시각)

    • ITC 최종 명령문(11월) 및 대통령 심사(60일) 결과.
    • BOE의 대체 라우트/인증 전략과 글로벌 세트업체의 발주 재조정.

    영상으로 보기: https://youtube.com/shorts/RvPIc68b_Ts

  • 25.08.12 글로벌 이슈

    미·중 ‘관세 휴전’ 90일 연장

    미국과 중국이 무역 전쟁 재개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합의했습니다.

    • 의미: 연말까지 관세 인상은 없지만, 3개월 뒤 협상 결과에 따라 상황이 급변할 수 있습니다.
    • 시장 반응: 글로벌 증시는 안도 랠리를 보였으나, 불확실성은 여전합니다.
    • 전망: 11월 협상이 향후 관세 정책의 분수령이 될 전망.

    김건희 前여사 구속영장 심사

    [서울=뉴시스]

    전직 영부인 김건희 전 여사가 오늘 법원에서 구속영장 실질 심사를 받았습니다.

    • 혐의: 뇌물 수수, 주가조작 의혹
    • 절차: 법원 결정은 오늘 밤 늦게 또는 새벽에 나올 예정
    • 파장: 국내 정치권 및 사회 전반에 큰 영향 예상

    한미 정상회담 확정 (8/25 워싱턴)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첫 정상회담을 열기로 확정했습니다.

    • 핵심 의제:
      • 미·중 관세 갈등 속 공급망 안정화
      • 경제·안보 협력 강화
      • 첨단 기술 교역 및 투자 확대
    • 의미: 한국의 대외 무역 및 안보 전략에 중대한 영향 예상

    영국 템스워터 ‘파산 대비’ 컨틴전시 가동

    영국 정부가 **최대 수도기업 ‘템스워터’**의 재정 위기에 대응해 **비상 계획(컨틴전시 플랜)**을 가동했습니다.

    • 배경: 부채 부담과 수익성 악화
    • 대응: FTI컨설팅을 자문사로 지정, 파산 시 ‘특별관리제도’ 투입 가능성 검토
    • 영향: 물 요금 인상, 인프라 투자 축소, 채권시장 불안 확대

    스페인 타리파 산불 대피·프랑스 원전 감발

    스페인: 타리파 지역 산불로 주민·관광객 2,000명 이상 긴급 대피

    프랑스: 폭염으로 하천 수온이 상승해 ‘뷔제3’ 원전이 출력 제한에 들어감

    영향:

    • 관광 산업 피해
    • 전력 공급 차질
    • 기후 변화로 인한 인프라 취약성 확대

    영상으로 보기: https://youtube.com/shorts/wVhz873HZQA

  • 25.08.11 글로벌 이슈

    8월 11일 세계 한 눈 브리핑 – 오늘 꼭 알아둘 5가지

    ① 미·중 ‘관세 유예’ 만료 D-1…재점화 신호?

    • 4월에 설정된 90일 관세 인상 유예현지시각 8월 12일(화) 만료 예정입니다. 연장 여부가 아직 불확실해 세계 교역·인플레이션 경로에 파급이 예상됩니다. 최근 워싱턴·베이징 간 접촉이 이어지지만, 고관세 복원(또는 추가 인상) 가능성이 거론되며 글로벌 위험자산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출처 : AP NewsFinancial Times

    • 만료를 앞두고 미국 측 발언과 농산물 구매 기대감이 시장을 흔들고 있습니다(대두 선물 상승 등). 유예 연장 시 단기 안도, 종료 시 공급망·소비자물가 상방 리스크가 커질 전망입니다. Reuters

    출처 : Reuters

    체크포인트: ① 연장/종료 공식 발표 시각 ② 품목별 관세율(전기차·태양광·반도체) ③ 보복 관세 가능성

    ② 세계은행 “2025년 세계성장 2.3%”…무역장벽·정책 불확실성 탓

    • 세계은행 **GEP(6월)**는 올해(2025년) **글로벌 성장률 2.3%**로 제시했습니다. 무역장벽 확대와 정책 불확실성 증대가 투자·교역을 위축시켜 2008년 이후(불황기 제외) 최저 수준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출처 : thedocs.worldbank.org

    • 보고서는 추가 관세 확대가 새 하방요인이라고 지적합니다. 신흥국은 FDI 둔화차입비용 고착에 특히 취약합니다.

    출처 : Open Knowledge Repository

    체크포인트: ① 미·중 관세 유예 결과 반영한 하반기 수정 전망 ② 교역·투자 지표(수출·PMI) 추이

    ③ 유럽 ‘아리안6’ 2차 상업 발사 임박(8/12)…미·중 양강에 도전

    • 아리안6(Ariane 6) 는 2024년 7월 첫 비행 후, **2025년 3월 VA263(프랑스 정찰위성 CSO-3)**로 첫 상업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이제 8월 12일 두 번째 상업 임무 VA264에서 Metop-SGA1(기상·대기 관측) 을 쏘아 올릴 예정입니다. 유럽은 기상·기후 관측 역량을 강화하며 상업발사 시장 재진입을 노립니다.

    출처 : 유럽우주국newsroom.arianespace.com

    체크포인트: ① KST 8월 13일 09:37? (Kourou 8/12 21:37 → CEST 8/13 02:37 → KST 8/13 09:37) ② 이후 예약 물량/단가 ③ Vega-C 복귀 일정과의 포지셔닝.

    ④ 인도 RBI, 8/6 금리 5.50% 동결·중립 기조…물가 전망 하향

    • 8월 6일 인도중앙은행(RBI) MPC정책금리(Repo) 5.50% 동결·중립 유지. 6월에 50bp 인하 후 전달효과(Transmission) 점검대외 관세 리스크를 주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Reuters
    • 성장률 전망(FY26) 6.5% 유지, 물가 전망 3.1%로 하향. 시장은 추가 완화 가능성을 열어두되 데이터 의존적 접근을 예상합니다.

    출처 : The Times of India

    체크포인트: ① 식품물가 재상승 여부 ② 관세 변수로 인한 환율·수입물가 경로 ③ 10월 MPC 방향성

    ⑤ 이란, 연료·보험료·운송요율 불만…전국적 트럭파업·시위 확산

    • 5~6월부터 전국 트럭운전사 파업이 확산, 보험료·연료가격 인상(안), 낮은 운임 등이 핵심 쟁점. 유명 인사들의 지지 표명이 이어졌고, 일부 지역에서 체포·진압 보도도 나왔습니다. AP News
    • 정부는 일부 조정과 유예를 시사했지만 구조적 부담(물가·통화가치·제재) 이 지속돼 산발적 시위가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배경·경과를 종합하면 경제적 불만이 축적된 사회불안 국면입니다.

    출처 : iranwire.com

    체크포인트: ① 정부의 보험·연료 정책 최종안 ② 물류 차질(항만·내륙운송) ③ 국제유가 및 운임 변동

     영상으로 보기: https://youtube.com/shorts/QATGredXOtQ

  • 25.08.10 글로벌 이슈

    25.08.10 글로벌 이슈

    8월 10일 세계 한눈 브리핑 – 오늘 꼭 알아둘 5가지

    오늘은 전 세계와 국내에서 주목해야 할 5가지 주요 뉴스를 정리했습니다. 각 이슈별 배경과 의미도 함께 살펴보시죠.

    1) 알래스카 회담 D-5: 영토 불가 원칙 재확인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알래스카 회담이 5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유럽연합과 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 영토 양보는 절대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회담 의제에 제동을 걸고 있습니다. 이번 회담이 러-우 전쟁의 향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출처: Reuters, Deutsche Welle, BBC World

    2) 가자시티 장악 계획에 국제 반발
    이스라엘 정부가 가자시티 전면 장악 계획을 승인하면서 국제 사회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독일은 가자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기 수출을 중단했고, 유엔은 인도적 위기를 경고했습니다.

    출처: Al Jazeera, Reuters, UN News

    3)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평화 합의: 남캅카스 물류 회랑 주목
    백악관 중재로 두 나라가 평화 합의에 서명했습니다. 이번 합의는 남캅카스를 경유하는 에너지·물류 회랑 활성화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터키·유럽과의 경제 연결고리를 강화할 전망입니다.

    출처: Reuters, Deutsche Welle, The Guardian

    4) 중국 7월 물가: CPI 보합, PPI 하락세
    중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변동이 없었고, 생산자물가지수(PPI)는 34개월 연속 하락했습니다. 이는 제조업 둔화와 내수 부진을 반영하며, 경기 부양책 필요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출처: Trading Economics, Xinhua, CNBC

    5) 국내: 국방비 3.8% 상향 요구 검토 보도
    미국 측이 한미 관세 협상 과정에서 한국 국방비를 GDP 대비 3.8%까지 높이는 방안을 검토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정부는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으며, 실제 협상 반영 여부는 불투명합니다.

    출처: 코리아 타임스, 연합뉴스, 조선일보


    ▶ 영상으로 보기: https://youtube.com/shorts/atIF52_OxEI

  • Hello world!

    Welcome to WordPress. This is your first post. Edit or delete it, then start writing!